●연평도 포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7:48
본문
Download : ●연평도 포격.hwp
천안함 침몰 사건에 이어 8개월만에 벌어진 이 사건으로 인해 양측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명피해 규모에 대상으로하여 대한민국 국방부는 사상자 가 있다고 하였으나 정확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연평도,포격,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연평도 포격 , ●연평도 포격인문사회레포트 , ●연평도 포격
연평도 포격
연평도 포격(延坪島砲擊)은 2xxx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다. 이에 대한민국 해병대는 피격 직후 대응사격을 가하였으며 대한민국 국군은 서해 5도에 진돗개 하나를 발령한 뒤, 곧 전군으로 진돗개 하나를 확대 발령하였다.
개요
2xxx년 11월 23일 8시 20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남북장성급군사회담 북측 단장 명의로 “북측 영해에 대한 포 사격이 이루어질 경우 즉각적인 물리적 조치를 경고한다”는 통지문을 발송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해병대원 전사자 2명(서정우 하사, 문광욱 일병), 군인 중경상 16명, 민간인 사망자 2명(김치백, 배복철), 민간인 중경상 3명의 인명 피해와 각종 시설 및 가옥 파괴로 재산 피해를 입었다.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훈련중단 요청을 거절하고 예정대로 훈련을 진행하였다. (한국 국방부는 북한이 통지문을 보내 경고를 했다는 사실을 조선중앙TV가 발표할 때까지 공개를 하지 않았다
10시 15분부터 14시 24분까지 4시간 동안, 연평도 주둔 해병대가 3,657발의 사격 훈련을 했다
연평도 해병대의 포격 훈련이 종료된지 10분 후인 14시 34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76.2mm 평사포, 122mm 대구경 포, 130mm 대구경 포 등을 이용해 연평도 군부대 및 인…(drop)
Download : ●연평도 포격.hwp( 23 )
●연평도 포격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연평도 포격
다. 한국 전쟁의 휴전 협정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 영토를 직접 타격하여 민간인이 사망한 최초의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큰 관심을 끌었으며,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을 제외한 국제 사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규탄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당한 군사적 대응이었으며 전적인 책임은 대한민국에게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