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理論-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17:18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hwp
② 타일러가 개발한 교육과정이 한 요소로서 ‘교육평가’ 모형인 目標(목표)중심평가모형을 紹介하며 타일러가 정이하는 평가槪念이 目標(목표)달성여부에 있음을 밝힌다.
⑤ 표준화검사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도입된 수행평가를 紹介한다.[교육학]‘교육과정’과‘평가’의관련성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교육과정’과‘평가’의관련성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Download :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hwp( 25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 인식
상황analysis(분석)
패널토론
마무리
ii. 상황analysis(분석)
1) 課題 analysis(분석)
① 시간 : 발표 40분, 토론 10분, 약 50분 배정
② 발표 시기 : 교육과정theory 16주 32회 수업의 후반부
③ 발표 課題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발표 내용 : Tyler 目標(목표)중심평가 모형, 학업성취도 평가 모형(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수행평가
2) 발표 목적 analysis(분석)
① ‘교육과정’과 ‘평가’가 각각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그 目標(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data(자료)는 주로 학습자의 성취도 검사를 통해 수집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교육평가는 ‘학업성취도 평가’라고 할 수 있다아 또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계획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나서 그것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고 그것은 계획된 교육과정이 얼마나 잘 실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체를 평가하는 의미도 된다 그러나 Tyler는 교육과정 자체를 평가의 대상으로 …(省略)
교육과정 理論-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③ 타일러가 개발한 目標(목표)중심평가모형은 학업성취도 평가모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紹介한다.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다.
④ 이전까지 우리가 ‘평가’에 대해 가져왔던 관념은 지필검사 혹은 客觀式검사로 아주 협소한 의미였음을 인식하고 그 이유를 설명(explanation)한다.
3) data(자료) 수집 및 analysis(분석)
1. Tyler의 평가 槪念
Tyler는 교육평가에 대한 정이를 ‘교육 또는 수업활동을 통해 교육 또는 수업目標(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 되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아 즉, 평가의 준거를 目標(목표)에 둠으로써 의도했던 目標(목표)와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비교에 의해서 교육과정을 평가한다. 다시 말하면, Tyler는 교육과정 평가를 目標(목표) 달성 여부의 확인에 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