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4:41
본문
Download : 창원방언과안동방언.hwp
그러나 필자는 최근에 어절 단위보다는 문장 data(資料)에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에, 문장 구조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풀이씨의 성조를 주된 data(資料)로 택하였다. 3장에서는 분절음운론에서 최소한 음운론적 층위와 중간 표상의 층위, 그리고 음성학적 층위를 구분
창원방언 안동방언 순행평성동화 중화 성조 / ()
창원방언 안동방언 순행평성동화 중화 성조 / ()
1. 머리말
하듯이, 성조 표상의 층위도 단일 층위로는 복잡한 성조 현상을 說明(설명) 할 수 없음을 보인다.
4. [고, H], [중, M], [저, L]의 기준
3. 성조 표상의 층위
5. 성조, 성조형, 중화 규칙
2장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4장에서는 [고, H], [중, M], [저, L] 등의 잣대 곧 높낮이를 결정하는 기준 제시한다. 우리말과 같은 언어의 운율적 자질은 상대적인 높낮이를 주된 자질로 하는 성조이므로, 높낮이를 정하는 데에는 합당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7. 방점형과 성조형
Download : 창원방언과안동방언.hwp( 11 )
순서
8. 음조형과 그 실현 규칙





설명
다.
6. 첫 constituent 평성형화
11.평성형 어절과 음거형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2. 자음과 모음 및 그 적는 법
10.평성형 어절과 풀이씨 굴곡형의 결합
이 연구는 경남 창원 방언과 경북 안동 방언의 성조(tones) 및 성조형(tonological patterns)의 체계와 그 음조적인 특징들을 대조적으로 분석․기술하고, 나아가서는 이 두 방언의 체계적인 성조 변동 현상들과 그 현상들에서 도출되는 성조형의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창원 방언 data(資料)는 필자 자신의 것으로 하고, 안동 방언의 data(資料)는 지난해 시월 이후에 조사한 것이다.
9. 상성음조형의 음조적인 차이
12.맺음말
창원방언 안동방언 순행평성동화 중화 성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종래에는 data(資料)를 동사와 명사에서 고루 선택하였고, 다른 학자들의 논저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명사가 주된 data(資料)였다.